[스크랩] 韓譯演歌 / 八尾戀歌 / 島津亞矢
<おわら風の盆>은 富山県 富山市 八尾町에서 每年 9月1日부터 3日까지 열리고있는 富山県을 代表하는 祝祭로, <越中おわら節>와 胡弓의 애조띈 선율에 마추어 춤을 추며 3日間 열리는 이축제에는 日本全国에서 약25萬 余名의 관광객이 몰려 온다함. 註 : -chkms- 八尾戀歌 *おわら風の盆 作詞:志賀大介 作曲:聖川湧大 한글토,韓譯 : chkms 唄 - 島津亞矢
*오와라 아미가사 무레카라 하나레 *おわら 編み笠 群から 離れ *<오와라> 삿갓쓰고 춤추는 무리를 벗어나
카게오 카사네타 코조노 아키 影を 重ねた 去年の 秋 사랑을 나누었던 지난해 가을
도코마데 *잇타카 아노 히토와 どこまで *去ったか あの 人は 어디까지 *가있나 그 사람은
오시에테 오쿠레 카에시테 오쿠레 教えて おくれ 帰して おくれ 가 르 쳐 주십시오 돌려보내 주십시오
코큐우가 무세부 *야쓰오 코이우타 胡弓が 咽ぶ *八尾 恋歌 호궁소리 흐느끼는 *<야쓰오> 사랑노래
*카 제 노 봉 *風 の 盆 *<카제노 봉>
* おわら編み笠 = <風の盆>에서 춤을 출때 쓰는 삿갓으로 아래 사진 참고바람. 참고 : おわら 어원 = 大藁(오오와라) 즉 크고 튼튼한 볏짚 줄기로 벼가 튼튼히 자라서 풍년이 들기를 빈다 또는 (2) お笑い 등등 說이 있음.
* 去った = 일본 uta-net 에는 云った로 나와 있는데, 위 동영상에서는 去った로 나와 있어 동영상 것으로 적어 넣었으니 참고 바랍니다.
* 八尾 = 八字는 숫자가 많다는 것을 뜻하며, 尾字는 산등성이를 뜻하는 것으로 富山県의 地名이며 <야쓰오>라 읽음. 大坂府에도 八尾市가 있는데 大坂府 八尾市의 八尾는 <야오>라 읽음.
* 風の盆 = 富山県 八尾町에서 매년 9월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늦은 밤까지 열리는 행사로, <바람의神>을 진정시켜서 豊年을 기원하기 위해 男女老少가 함께 노래와 춤을 춤는 행사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쓰치니 산넹 코노 요데 믹카 土に 三年 この 世で 三ッ日 흙속에서 三年 이 세상에 나와 사흘
코코오 센도토 세미가 나쿠 ここを 先途と 蝉が 哭く 지금이 운명의 고비라며 매미가 통곡하네
*우이타카 효오탄 나가레 우타 *浮いたか瓢箪 ながれ 歌 *게으름뱅이 매미의 바람처럼 흐르는 노래
아노 히토 코이시 코오시도 아카리 あの 人 恋し 格子戶 あかり 그 사람이 그리워 격자창문의 불 빛
코토시모 히토리 야쓰오 코이우타 今年も ひとり 八尾 恋歌 올 해 도 혼자네요 <야쓰오> 사랑노래
카 제 노 봉 風 の 盆 <카제노 봉>
* 浮いたか瓢箪 = 일종의 방언으로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 말임. 게으름뱅이, 빈둥거리며 느긋하게 무사태평함, 어슬렁거리는 사람, 빈둥빈둥 거림, 난봉꾼, 탕아 그리고 <名古屋>지방에서는 엄벙덤벙, 얼떨결에, 무심코, 멍청이 등등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 말이라함. 아래 참고 바랍니다.
參考 = 「ういたか瓢箪」とは、語源は何でしょうか? *** ベストアンサ- *** 「ふまじめ」などの意味で、 「ういたか提灯」「ういたか瓢箪」などと使われるようですね。 「うきたから」と関係するかも知れません。古代において船は 大変貴重なものだったので、書紀など、船を「浮き宝」と表現 します。 船にせよ瓢箪にせよ提灯にせよ、地に足が着かず、中身がなく、 浮いたものの象徴と言ってよい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。もちろん、 「浮いたか」という揶揄の意も込められているのかもしれませんね。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메구리 아와세오 나게이테 미테모 巡り あわせを 嘆いて みても 운 수 팔 자 를 한 탄 해 보 아 도
카에랴 시나이사 아노 히토와 帰りゃ しないさ あの 人は 돌아 오지는 않을거야 그 사람은
아시타노 나쿠분 스코시 다케 あしたの 鳴く分 少し だけ 내 일 울만큼 조금 쯤
노코시테 세미와 네구라오 사가스 残して 蝉は ねぐらを 探す 남겨두고 매미는 둥지를 찾아요
*엣츄우 오와라 야쓰오 코이우타 *越中 おわら 八尾 恋歌 *<엣츄우 오와라> <야쓰오> 사랑노래
카 제 노 봉 風 の 盆 <카제노 봉>
* 越中おわら = 富山県를 이르는 地名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