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스크랩] 韓譯演歌 / 月の渡り鳥 / 市川由紀乃
月の渡り鳥 作詩:萬城たかし 作曲:宮下健治 한글토,韓譯 : chkms 唄 - 市川由紀乃
*하치리 아루케바 와라지모 키레루 *八里 步けば わらじも 切れる
*<팔십리> 걷다보면 짚신줄도 끊어져 잇슈쿠 잇반 카리우케마시테 一宿一飯 借り受けまして
약간의 신세 빚을지면서 *죠오슈우 마쓰이다 나카센도 *上州 松井田 中山道
*<죠오슈우> <마쓰이다> <나카센도> *쓰키노 시즈쿠가 카사니 후루 *月の しずくが 笠に 降る
*달빛에 이슬방울 삿갓에 내려앉네 타비노 야타로우 와타리도리 와타리도리 旅の 彌太郎 渡り鳥 渡り鳥
타향의 <야타로우> 떠돌이철새 나그네신세 * 八里 = 旧 東海道의 小田原 宿所 ~ 箱根 宿所까지 四里(4십리)와 箱根 宿所 ~ 三島 宿所 까지의 四里(4십리)를 합한 八里(팔십리)의 길로, 東海道에서는 大井川과 함께 넘기가 힘든 難所로 알려진 팔십리길을 말함. <箱根馬子>라는 노래에 <箱根 八里를 말을 타고 넘으려도 넘을수 없는 大井川> 라는 노래도 있음. * 上州-松井田-中山道 = 옛 江戶(現 東京)과 京都를 잇는 中山道에 중간에 위치한 地名으로 上州(옛 上野國의 略稱으로 現 群馬県)와 松井田(現 群馬県 西部)를 뜻함. * 月のしずく = 이슬 (つゆ)을 歌詞의 音韻에 맞게 文學的으로 表現한 말.
* 彌太郞 = 天保五年 ~ 明治十八年 (1835.1.9 ~ 1885.2.7) 井ノ口村 라는 가난한 마을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으나, 武士로 活動하다가 幕末 激動 속을 앞질러 나가서, 武士身分에서 実業家로 転身하여 三菱(後에 三菱財閥)를 創始한 歷史的인 人物. 岩崎彌太郞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호레타 하레타와 니가테나 세리후 惚れた 腫れたは 苦手な 臺詞
반했느니 어쨌느니는 질 색 인 <세리후>
스가타와 야쿠자노 야타로우 카사모 姿は やくざの 彌太郞 笠も
모 습 은 불량배의 <야타로우> 이지만 소다치와 하타모토 니혼자시 育ちは 旗本 二本差し
자란곳은 武士집안 武士라고 *오유키 코이시야 무네노우치 *お雪 戀しや 胸のうち
*<오유키> 그리워라 가슴속으론 다레니 기카소카 타비노소라 타비노소라 誰に 聞かそか 旅の夜空 旅の夜空
누구에게 물어보나 타향 하늘 밤 하늘 * お雪 = 彌太郞가 사랑했던 女人인듯 (譯者의 추측입니다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기리토 닌죠오니 이노치가 카라무 義理と 人情に 命が 絡む
의리와 인정에 목숨이 휘말려
*후에후키 토오게와 미카에리 토오게 *笛吹 峠は 見返り 峠
*<후에후키> 고개는 뒤돌아보는 고개
온기오 하타세토 *묘우기야마 恩義を 果たせと *妙義山
은혜를 갚으라며 *<묘우기>산 *카라스 가와 모니 사카사쯔키
*烏 川 面に 逆さ月
*<카라스>강물 위에 거꾸로비친달
누레테 야타로우 *산도가사 산도가사 濡れて 彌太郞 *三度笠 三度笠
젖어서 <야타로우> *<산도가사> 나그네삿갓 * 笛吹峠 = 崎玉県 鳩山町과 同県 嵐山町의 경계에 있는 標高 80m 의 고개로, 이 고개를 南北으로 관통하는 길이 旧 鎌倉街道로 鎌倉時代에는 多數의 武士들이 오가던 고갯길. (아래 사진 참고 바람) * 妙義山 = 現 群馬県 下仁田町 - 富岡市 - 安中市의 경계에 걸쳐있는 標高 1,104m 의 山 이름으로, 赤城山, 榛名山과 함께 日本 三大 名勝으로 日本百景으로 선정된 山. * 烏川 = 現 群馬県 高崎市를 흐르는 利根川 水系의 河川 * 三度笠 = 얼굴이 보이지 않게 깊게 만들 삿갓. (옛날 파발꾼이나 나그네가 씀). |